2019. 11. 18. 08:00ㆍ11월 뉴스레터 콘텐츠/2차 발송 콘텐츠


‘공익’과 ‘사익’의 대립.
역사적으로 늘 있었던 일이다.
그렇다면 ‘공공’은 숫자만 많으면 공공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일까?
사익은 공익을 위해 일방적으로 희생해야 하는 가치인가?
물론 정답은 없다.
결국 각각의 사안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따져보면서 판단하는 것이 최선이라 생각한다.
2018년 경기도 한 농촌마을. 이곳은 그린벨트와 농헙진흥지구로 지정되어 있던 땅이었다.
그러던 어느 날 LH와 국토부는 이 곳을 공공주택 지구로 지정한다.
주민과의 협의는 없었다.
오히려 민주적 정당성이 없는 주민대표를 임의로 선정해 졸속으로 처리한 정황이 드러났다.
사업이 시작되면 주민들은 농지를 강제수용당하게 된다.
약 80%의 주민이 반대하고 있지만 법적으로 사업을 백지화하긴 어렵다.
물론 보상을 받을 수 있지만, 보상은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책정된다.
그린벨트와 농업진흥지구로 묶여있는 땅의 공시지가는 인근 토지 시세의 약 1/10 정도다.

결국 사업이 시작되면 농민들은 삶의 터전을 떠날 수밖에 없다.
3대째 터전을 이루고 살고, 농사 말고는 할 게 없다는 농민들이 모두 쫒겨나게 생긴 것이다.
서민을 내쫒고 서민을 위한 집을 짓겠다는 ‘공익’사업.
과연 농민들이 주장하는 생존권을 그저 ‘사익추구’로 판단하는 것이 옳을까?
생각해 볼 문제다.
By. Editor 찬

▶국회의 약속은 Catbell에서 확인해 주세요
조세특례제한법
기획재정위원회 - 김한정의원 등 10인
catbell.org

해결약속 총 1개 중 0개가 이행되었습니다.
'11월 뉴스레터 콘텐츠 > 2차 발송 콘텐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생활] 고령운전자 면허관리 (0) | 2019.11.18 |
---|---|
[노동] 영세 자영업자 임대 (0) | 2019.11.18 |
[동물] 동물 수집 문제 (0) | 2019.11.18 |
[청년] 승선근무예비역 실태 (0) | 2019.11.18 |
[환경] 공장 미세먼지 (0) | 2019.11.18 |